2025년,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에 올랐다.
그 배경에는 **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제도(66.7%)**가 있다는 분석이다. 이를 증명하듯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올라온 한 직원의 급여명세서 인증글이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.

1월 급여명세서 공개
해당 직원에 따르면, 지난 1월 총 5689만8587원을 수령했다.
이 중 세금·공제 759만8010원, 저축·상환 103만9530원을 제외한 실 지급액은 4826만1047원이었다.
구분금액
| 기본급 | 295만7000원 |
| 고정시간외수당 | 50만7000원 |
| 업적급 | 233만9000원 |
| 특별성과금 | 1670만7000원 |
| PS(초과이익성과급) | 3408만2300원 |
| 복리후생비(연금·이자지원 등) | 약 51만 원 |
총액의 89%가 성과급으로 구성돼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.
공제 내역
공제액 총액은 759만8010원. 세부 항목은 다음과 같다.
- 소득세: 588만8890원
- 지방소득세: 58만8880원
- 건강보험료: 27만990원
- 국민연금: 27만7650원
- 고용보험: 51만3920원
- 기타 공조회비·운동복 대여비 등
고액 지급의 배경
이번 고액 급여의 배경은 매년 초 일시 지급되는 성과급·PS 때문이다.
특히 SK하이닉스가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하면서 보너스 규모가 커졌다.
- 📊 2025년 2분기 영업이익: 9조2129억 원
- 전년 동기 대비 68.5% 증가
노사 갈등과 협상 결렬
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성과급 기준을 둘러싼 노사 갈등을 겪고 있다.
- 노조 요구: 영업이익 10%(3.7조 원)를 전액 성과급으로 지급
- 사측 제안: 기본급 1000% → 1700% 상향, 초과분 50%는 연금·적금 보상
- 결과: 지급방식 불명확으로 임금협상 결렬, 노조 강경 투쟁 예고
업계 최고 수준 보상
- 평균 연봉: 1억1700만 원 (2024년 기준)
- 임직원 수: 3만2314명
- 이직률: 1.3% (최근 10년 최저)
- 자발적 이직률: 0.9% (3년 연속 하락세)
'시사 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빌 게이츠, 한국 방문 이유는? 보건·에너지·AI 협력 강화 (4) | 2025.08.24 |
|---|---|
| 노란봉투법, 무엇이 문제이고 왜 논란인가? (1) | 2025.08.20 |
|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, 49년 전 오늘 무슨 일이 있었나? (2) | 2025.08.18 |
| GPT-5, 인류의 새로운 도구가 되다, AGI를 향한 진화 (4) | 2025.08.08 |
| 국회 본회의장 주식 거래 논란, 이춘석 의원 '차명 의혹' 터지다 (6) | 2025.08.05 |